부천 역사 No Further a Mystery
부천 역사 No Further a Mystery
Blog Article
현전하는 문헌들에서는 부천의 역사를 대체로 고구려 시대부터 기술하고 있다. 지금의 부천 지역을 포함하는 전통 시대 부평은 『삼국사기(三國史記)』를 비롯한 각종 사서에 고구려의 주부토(主夫吐)로 기록되어 있다.
이에 부천지역이 고향인 필자는 부천내 지명을 하나, 하나 연구하기 시작했다.
부천군 당시 '도당리'로 오정면에 속해 있었고, 도자기 또는 오기 굽는 굴과 벽돌공장도 있어서 '도당동'으로 불리었다고도 하며, 당집이 있어 '도당'이라고 했다고도 한다.
(서울특별시 강서구) ← 원종역 -부천종합운동장역 - 소사역 - 소새울역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
시인은 향수와 더불어 살아생전에 호수, 유리창 등 수많은 대표작을 남긴 현대시의 대부이자 천재 시인입니다. 이렇듯 문학의 역사인 정지용 시인이 부천시에서 업적을 세운 사실을 아시나요?
국립암센터,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명지의료재단 명지병원, 차의과학대학교 일산차병원
박정희 시절의 서울 추가확장 계획을 폐기하여 광명시 강제승격을 단행했을 정도로 위성도시 육성을 중시한 그의 기조를 미루어보면, 인천직할시 승격때 부천을 인천에 합병하기보다는 부천을 서울과 인천의 위성도시로 남기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당시로 볼 때 먹거리, 부천휴게텔 볼거리, 놀거리 등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들이 밀물과 썰물처럼 반복되는 거대한 물류기지의 역할을 했던 '실크로드'라고 볼 수 있다.
부천의 굴포천은 지금의 중ㆍ상동과 송내동 경인국도 아래, 그리고 부평지역으로 볼때는 계양산 동야리 입구까지이며, 원종동과 고강동, 오쇠동 사이 '방우리들'까지의 포구를 일컫으며, 이로 미뤄볼 때 한강 팔당까지 바닷물이 들어왔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소상동 · 심곡동 · 송내동지역이 그 대표적인 고장이다. 그 당시만 하더라도 포도와 딸기 재배도 유명하여 서울사람들의 주말 나들이 겸 휴식처로 인기가 높았던 관광지였다.
특히 도당동 · 춘의동 · 심곡동 일대에는 조립금속 · 전기전자 · 석유화학 · 인쇄 · 목재 업종을 중심으로 대단위 사업장은 물론 중소규모의 업체가 다수 위치하여, 이 지역 공업발전의 선도 역할을 담당한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부천의 오정 역시 중국식 표기원음은 '오재이'라 불리어져 왔고 일제 때부터 사용하던 오정(吾丁)을 보면 '나 오(吾), 고무래 정(丁)을 쓰고 있으며, 현재 바뀌어져 쓰고 있는 '오정(梧亭)' 보다는 예전에 쓰여지던 '오정(吾丁)'이 음운학적으로도 더 가깝다는 것이다.
이 굴포천에는 지금 부천시 오정구 오정동과 인천광역시 계산동 사이에 한다리[大橋]라고 하는 다리가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지고 그 자리에 중앙교(中央橋)가 세워져 있다.